난기류는 공기의 흐름(기류)이 예측할 수 없이 불규칙한 난류(亂流)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대류권의 불규칙한 대기 운동을 의미하는 대기난류(atmospheric turbulence) 가운데 특히 부분적이고 국지적인 것을 가리킨다.
난기류는 기상 상황, 고도 및 분류 목적 등에 따라 항공난류(turbulence)와 급변풍(wind shear) 등으로 세분화된다.
일반적인 난기류인 터뷸런스(항공난류)의 경우, 고도 및 구름의 위치와는 관계없이 항공기가 순항하는 9-12 km의 대류권계면이나 심지어는 성층권에서도 발생한다.
난기류는 유체 소용돌이의 크기도 작은 것에서부터 하나의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거대하게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의 비행기는 웬만한 수준의 돌풍을 받아도 양력을 잃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고고도에서 순항 중인 비행기가 터뷸런스로 인해 실속 하는 경우는 드물며 일반적인 과속 방지턱 수준이라 생각하면 된다.
덜컹거리는 게 기분이 불쾌한 수준이지, 과속방지턱으로 차가 전복되는 경우는 없는 것처럼. 반면에 윈드시어, 특히 마이크로버스트 같은 경우에는 숙련된 비행사에게도 통제하기 어려운 존재로 자칫 잘못하면 큰 참사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이들을 만나는 시점인 이륙과 착륙 도중에는 약간의 동체 흔들림만으로도 비행기가 활주로를 벗어나거나 지면에 강하게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윈드시어가 예상되는 공항은 미리 경보를 발령한다.
이륙 직전에 비행기의 이륙 허가가 취소되거나 착륙하려던 비행기가 착륙을 포기하고 복행 하거나 타 인근 공항으로 회항하는 경우도 있다.
교통과 운송뿐만 아니라 레저 스포츠로 하늘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된 현대에, 난기류는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요인이 될 수 있어 연구와 분석이 계속되고 있다.
보통 항공기 관련 용어로써 사용되는데, 항공레저와 관련하여 가장 흔하게 맞닥뜨리고 또 위험을 초래하는 변수이기 때문이다.
만약 기내 서비스 중 경미한 난기류가 관측된다면 일단 승객들을 앉힌 뒤 기내 서비스는 계속하는 경우도 있지만 난기류가 더 심해진다면 승무원도 기내식 카트를 그 자리에 놔둔 뒤 점프 시트나 근처 빈자리로 대피한다.
난기류로 인한 준사고의 사고조사 보고서 중 기내식 카트가 천장에 꽂혀있거나한 사진들은 보통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언제 어디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게 난기류이지만 특히 적도 부분이 심한 편이며 인천-오클랜드를 예로 들면 이륙해서 13시간 비행 중 거의 절반을 계속 난기류에 시달리며 흔들리면서 날아간다.
심지어 이게 날씨가 좋을 때이기 때문에 호주, 뉴질랜드, 괌 같이 측풍을 바로 때려 맞으며 가는 항공편의 경우 난기류로 인한 멀미를 호소하는 승객들이 더 많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