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로 24절기 유래와 풍속, 백로전미발 뜻은?

건강, 생활

by @56&89# 2024. 9. 7. 14:00

본문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이다.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24 절기의 하나이며 백로(白露)는 양력 9월 9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들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로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특징을 말하였다고 전해진다.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侯)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한다.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하지만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한다. 백로 다음에 오는 중추는 서리가 내리는 시기이다. 

 

전남에서는 백로 전에 서리가 내리면 시절이 좋지 않다고 하며 볏논의 나락은 늦어도 백로가 되기 전에 여물어야 한다.

 

벼는 늦어도 백로 전에 패어야 하는데 서리가 내리면 찬바람이 불어 벼의 수확량이 줄어들며 백로가 지나서 여문 나락은 결실하기 어렵다.

제주도 속담에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이라고 해서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고 전한다. 

 

 

또한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농작물이 시들고 말라버리는 것으로 생각하며 충남에서는 늦게 벼를 심었다면 백로 이전에 이삭이 패어야 그 벼를 먹을 수 있고, 백로가 지나도록 이삭이 패지 않으면 그 나락은 먹을 수 없다고 믿는다.

 

경남에서는 백로 전에 패는 벼는 잘 익고 그 후에 패는 것은 쭉정이가 된다고 알고 있으며, 백로에 벼 이삭을 유심히 살펴서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하기도 한다.

농가에서는 백로 전후에 부는 바람을 유심히 관찰하여 풍흉을 점치는데 이때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해가 많다고 여기며, 비록 나락이 여물지라도 색깔이 검게 된다고 한다.

 



백로는 대개 음력 8월 초순에 들지만 간혹 7월 말에 들기도 하는데 7월에 든 백로는 계절이 빨라 참외나 오이가 잘 된다고 한다.

 

8월 백로에 비가 오면 대풍이라고 생각하며 경남 섬지방에서는 “8월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린다.”라는 말이 전하면서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생각한다.

 

백로 무렵이면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를 시작하고, 고된 여름농사를 다 짓고 추수할 때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므로 부녀자들은 근친을 가기도 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