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슨트 유래와 자격조건과 업무범위는?

이슈정보

by @56&89# 2024. 8. 18. 21:58

본문

반응형

도슨트는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으로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사람을 말한다.

 

도슨트(Docent)는 ‘가르치다’라는 뜻의 라틴어 ‘Docēre’에서 파생된 말로 유럽에서는 대학의 시간강사를 이르는 말로 사용한다.

도슨트 제도는 1840년대 영국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1900년대 미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도슨트는 일반 관람객들이 전시작품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으로 미술과 문화재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도슨트가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많은 미술관과 전시관, 박물관에서 도슨트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도슨트가 되기 위한 자격증은 없고 민간에서 운영하는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 등을 수료할 수는 있으며 대개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슨트는 업무적인 면에서 큐레이터(Curator)와는 차이가 있는데 큐레이터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전체 업무를 관리, 감독하는 사람으로, 큐레이터의 역할에는 전시물의 수집부터 연구, 전시 기획, 홍보 및 예산관리까지 포함된다.

 

이와 달리 도슨트의 역할은 전시 과정에서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전시를 관람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미술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그림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설을 찾아 강연을 듣거나 제2막 인생으로 도슨트(전시 해설사)를 꿈꾸는 중년층도 생겨나고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 wcs_do();